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LANGUAGE
Filename: libraries/user_agent_parser.php
Line Number: 226
중국 쇼트 클립을 활용한 중국 커머스 진출 시사점 | |||
---|---|---|---|
경북 수출지원 해외 서포터즈 / 박신희(중국)
얼마 전 한국의 한 예능에서 MZ 세대를 대표하는 한 연예인이 “저는 영상이 10분을 넘어가면 못 봐요”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 상황상 웃으면서 한 이야기지만 이는 ‘쇼트 클립’ 산업의 기세가 얼마나 대단한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중국은 쇼트 클립에 대한 관심도가 매우 높아 관련 산업의 확장세가 심상치 않다.
1) 쇼트 클립 정의 쇼트 클립(短视频)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짧은 영상이다. 짧다는 것은 기존 TV나 동영상 플랫폼에서 방송되던 60분 전후의 장편 드라마나, 영화, 오락프로그램 등보다 짧은 시간이라는 의미다. 시간으로 따지면 대략 5분 내외다. 짧은 길이 때문에 쇼트 클립은 전통매체인 TV용이 아니라 인터넷, 특히 모바일에 특화된 영상으로 간주한다. 쇼트 클립이 모바일에 특화되어 발전하고 확산되다 보니 콘텐츠도 세로형이 많다.
2) 쇼트 클립 산업 규모 2013년 3,800만 명에 불과하던 쇼트 클립 이용자는 2023년 10억 명 규모로 성장했다. 초창기에 GIF 형식으로 서비스되던 쇼트 클립은 이후 플랫폼 및 서비스 내용이 전문화되고 세분화되면서 이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짧은 시간의 엔터테인먼트를 즐기는 스낵컬처가 확산하면서 이용자 수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다가 2019년부터는 이용자 수가 안정적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가입자가 증가하고 쇼트 클립 플랫폼이 라이브 방송(直播) 커머스 기능을 제공하고 광고주 또한 쇼트 클립 라이브 방송에 마케팅 투입을 선호하는 추세가 강화되면서 쇼트 클립 산업 규모는 지속적인 상승세다. 3) 쇼트 클립 산업체인 중국 쇼트 클립 산업체인은 쇼트 클립 플랫폼의 성장과 쇼트 클립을 활용한 커머스 활용도가 커지고 수많은 콘텐츠 생산자가 참여하면서 점점 확장되고 복잡해졌다. 초기 쇼트 클립은 기존 동영상 플랫폼이 메뉴의 한 카테고리로 서비스하는 정도였기 때문에 쇼트 클립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배포 플랫폼 간의 관계 위주였다. 그러나 쇼트 클립 산업이 커지면서 쇼트 클립만을 서비스하는 자체 플랫폼이 생겨나고 쇼트 클립의 이용자가 증가했다. 더불어 쇼트 클립 산업체인은 기존 동영상 플랫폼처럼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상호작용하는 거대 산업체인으로 변모했다. 이를 구성하는 주요 플레이어는 규제기관, 콘텐츠 생산자, 콘텐츠 이용자, 콘텐츠 유통 플랫폼, 온라인 결제(핀테크 사업자 등), 광고사, 커머스 사업자 등이다. 쇼트 클립 생태계에서 커머스 사업자는 매우 중요한 플레이어 중 하나다. 커머스 사업자가 쇼트 클립 산업체인의 주요 플레이어로 등장한 것은 기존 동영상 플랫폼과는 차별화된 모습이다. 기존 동영상 플랫폼에서 커머스 사업자는 광고라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브랜드 및 상품 마케팅을 추진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쇼트 클립 플랫폼에서 커머스가 활성화되면서 커머스 사업자들은 콘텐츠 제공자 역할만 아니라 광고사와 온라인 결제 사업자와 협력하여 적극적으로 쇼트 클립 생태계에 참여하고 있다.
4) 쇼트 클립 산업 성장 배경 영상산업 관계자들도 쇼트 클립의 빠른 성장세에 놀랄 만큼 쇼트 클립의 성장 속도는 급격하다. 영상 전문가 중에는 10초에서 5분 전후의 쇼트 클립이 어떻게 사업화가 될 수 있겠냐는 회의적인 반응도 많았지만, 쇼트 클립 산업은 전문가들의 반응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급격한 성장세를 구가했다. 중국의 쇼트 클립 산업이 기대 이상의 빠른 성장세를 보인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모바일 시장 및 네트워크 발전, 중국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 활발한 업계 투자, 중국 소비구조 변화, 안정적인 영상 콘텐츠 생태계 그리고 고수익 창출 잠재력 등이 쇼트 클립 산업의 주요 성장 배경이다. 중국 모바일 시장은 2017년을 기해서 안정적인 4G 속도를 구현했는데 이러한 모바일 시장과 네트워크의 발전은 쇼트 클립 산업의 발전을 촉진했다.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클립 산업 성장의 빠질 수 없는 요인인데, 외부성이 강하다는 미디어 상품의 속성상 이러한 지원이 없었다면 급속한 성장을 이루기 어려웠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활발한 업계 투자 유입은 쇼트 클립 산업 폭풍 성장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자금이 돌지 않는 생태계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운데 쇼트 클립 생태계는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자금의 유입이 풍부한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중국 소비 구조 변화도 쇼트 클립 산업의 성장에 한몫 했다. 중국 소비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옮겨 간 지는 오래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중에서도 모바일 위주로 커머스 형태가 바뀌는 데는 쇼트 클립의 역할이 컸다. 안정적인 영상 콘텐츠 생태계는 쇼트 클립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었다. 쇼트 클립 산업 특성상 IT 업체들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 기존 동영상 플랫폼을 운영하던 업체들이 영상 분야 노하우를 기반으로 쇼트 클립 플랫폼을 운영함으로써 서비스의 안정화가 조기에 가능했다. 그렇게 안정화된 쇼트 클립 플랫폼들이 쇼트 클립 콘텐츠 생산자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수익 발생이 가능한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쇼트 클립 콘텐츠 생산자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생태계가 구축되었다. 고수익 창출 잠재력은 더 많은 콘텐츠 관련 플레이어들을 쇼트 클립 산업에 참여시켰는데, 쇼트 클립 플랫폼에 수익 창출 잠재력이 없었다면 쇼트 클립 생태계에 투자금은 유입되지 않았을 것이다. 쇼트 클립은 영상 콘텐츠를 생산하는 사업자뿐만 아니라 마케팅 및 유통 그리고 제작자들에게도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로 평가받고 있다. 쇼트 클립 콘텐츠의 마케팅 및 커머스 간편성을 높이려는 쇼트 클립 사업자들의 노력도 빼놓을 수 없는 쇼트 클립 산업의 발전 요인이다. 쇼트 클립 플랫폼은 단순히 5분 내외의 짧은 영상을 올려서 즐길 수 있도록 만든 것이 아니라 라이브 방송 기능과 물건을 사고 팔 수 있는 커머스 기능을 융합했다. 기능의 강화로 쇼트 클립 플랫폼이 동영상 콘텐츠 유통을 촉진하는 매체 역할뿐만 아니라 동영상 콘텐츠와 결합한 새로운 상품 마케팅 기회 제공 및 커머스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5) 쇼트 클립 산업 발전 과정 중국 쇼트 클립 산업의 발전단계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쇼트 클립 산업의 발전단계는 태동기, 탐색기, 성장기, 성숙기의 네 단계로 구분된다. 이중 성숙기는 쇼트 클립 산업 구도가 안정화되어 가는 단계로 시기적으로 2017년 이후이다. 이 시기에 쇼트 클립은 상업적인 성격, 즉 수익 창출에 대한 방법론이 점차 뚜렷해지는데, 특히 쇼트 클립의 현금화 방식이 정립되는 시기라고 표현할 수 있다. 성숙기 단계에서는 쇼트 클립 관련 기업들이 자신의 포지셔닝을 기반으로 투자를 유치하거나 진행하여 성장을 꾀했고 창작자들은 어떻게 콘텐츠를 현금화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6) 쇼트 클립 이용자 특징 중국 인터넷 발전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쇼트 클립 소비자가 짧은 동영상과 생방송을 시청하는 것이 소비자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여가 방법이 되었다. 조사 결과 소비자의 30.09%는 1~2시간, 38.37%는 2~3시간, 15.71%는 3~4시간 동안 짧은 동영상을 시청했으며, 4시간 이상 시청한 응답자는 약 7.28%를 차지했다. 또한 응답자의 87.96%가 소비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아울러 소비자는 짧은 동영상과 생방송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구매 품목으로는 의류, 신발, 가방, 스킨케어 등이었다. 이들의 56.16%는 지난 1년 동안 짧은 비디오와 라이브 전자 상거래로 '자주' 쇼핑을 했고 '가끔'과 '매우 드물게' 쇼핑했다고 답한 응답자가 각각 34.68%, 8.01%를 차지했으며 일부 소비자는 쇼핑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쇼트 클립 콘텐츠 특징 쇼트 클립이 단기간에 영상 사업의 총아로 떠오를 수 있었던 것은 쇼트 클립 콘텐츠 내용 및 제작의 특징에서 찾아볼 수 있다. 쇼트 클립 플랫폼에 공급되는 콘텐츠는 콘텐츠 생산자에 따라서 크게 UGC(User Generated Content), PGC(Professionally Generated Content), PUGC(Professional User Generated Content) 3가지 유형이다. UGC는 영상제작 ‘비전문 일반인이 만든 쇼트 클립 콘텐츠’로 콘텐츠 생산자 중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UGC는 주로 비영리적이고 개인적이며 사교적인 성격을 지닌 것들이다. PGC는 ‘콘텐츠 제작 전문 업체에서 생산하는 콘텐츠’로 제작비용과 영상 품질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주로 방송 및 언론 매체, MCN, 영상 제작사에서 제작하는 콘텐츠를 말한다. PUGC는 ‘영상제작에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중국의 인플루언서 왕홍과 KOL 등이 생산하는 콘텐츠’다. 왕홍이나 KOL은 해당 분야에 파급력이 높기 때문에 PUGC는 마케팅 가치가 높은 콘텐츠로 평가받고 있다.
8) 쇼트 클립 플랫폼 사업자 중국에는 다양한 쇼트 클립 플랫폼이 있다. 이중 대표적인 몇 가지를 살펴보면 우선 더우인(抖音)은 2016년 9월 출시된 중국의 대표적인 쇼트 클립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진설명: 중국 쇼트 클립 플랫폼들] 사진출처: Baidu 더우인은 출시 직후부터 젊은 층을 주요 타깃으로 정하고 제품 개발에서도 사용자 경험(UX)에 많은 투자를 했다.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촬영, BGM, 특수효과, 인기 콘텐츠 도전 등의 기능을 강화하면서 콘텐츠를 꾸미고자 하는 젊은 층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며 시장의 파이를 키워 나갔다. 또한 중국 내 유명한 예능 프로그램 협찬 및 연예인을 통한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2위를 달성하기도 했다. 2018년 6월까지 더우인의 DAU는 4.5억 명을 돌파하고 MAU는 3억을 초과했으며 시과스핀 등 타 쇼트 클립 애플리케이션을 추월하며 중국의 대표 쇼트 클립 애플리케이션인 콰이서우의 가장 강한 경쟁자로 성장했다. 2017년 8월에는 더우인의 해외 버전인 틱톡을 출시했다. 콰이서우(快手)는 베이징콰이서우테크(北京快手科技有限公司)가 운영 하는 쇼트 클립 애플리케이션으로 2011년 3월에 GIF 그림 제작 및 공유 위주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출발하여 2012년 11월 쇼트 클립 애플리케이션으로 진화했다. 콰이서우는 2017년 11월 DAU가 1억 명을 넘어서는 등 급속한 성장을 이루면서 2018년에는 바이두, 텐센트 등을 포함하여 중국 내 대기업으로부터 총 14억 달러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콰이서우는 투자금을 이용하여 기술개발 및 콘텐츠 생산에 진력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콘텐츠 추천 기능을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했다. 이에 따라 쇼트 클립 이용자에게 빅데이터를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고 각 사용자의 개성에 맞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비리비리(哔哩哔哩)는 애니메이션을 전문적으로 다뤘던 애플리케이션이었다. 이용자들이 점점 증가하면서 미디어 플랫폼의 모습으로 바뀌었고 미국의 유튜브와 비슷한 모습을 갖추어 갔다. 전문 쇼트 클립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하기는 어렵지만 최근 들어 쇼트 클립에 집중하면서 중국의 10~20대 초반 이용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하오칸스핀(好看视频)은 2017년 11월 출시되었으며, 바이두 인공지능 기술에 기반한 개인화 맞춤 유통 쇼트 클립 애플리케이션이다. 하오칸스핀은 바이두 기술 및 이용자의 빅데이터에 의존하여 코믹, 음악,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게임, 생활, 소품, 군사, 자동차, 뉴스 등 전방위적인 양질의 동영상 콘텐츠를 분류하여 제공하고 있다. 하오칸스핀의 콘텐츠는 포괄적이고 세밀하게 구분되어 있으며 '개그' '비디오' '음악' 등 대중화된 카테고리는 물론, '교육' 군사' ‘테크놀로지' 등 특화된 카테고리를 통해 이용자의 니즈를 빠르게 최적화할 수 있는 메뉴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대형 빅테크 기업인 텐센트가 운영하는 웨이신 스핀하오(微信视频号)가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웨이신 스핀하오는 대규모의 위챗 사용자를 기반으로 쇼트 클립 서비스를 진행하면 최근 몇 년간 가장 큰 성장을 이룬 쇼트 클립 플랫폼으로 평가받고 있다. 9) 쇼트 클립 MCN MCN(Multi-channel Networks)이란 다채널 네트워크로 1인 크리에이터들의 영상 창작 활동을 전문적으로 관리 및 지원하여 플랫폼에 유통하고 그 영상에서 발생한 광고 수익을 창작자와 배분하는 비즈니스를 의미한다. MCN은 플랫폼과 협업하고 계약된 왕홍들을 위해 마케팅, 홍보, 법률, 세무 등 각종 상업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계약 규정에 따라 수익을 배분한다. 쇼트 클립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왕홍들도 더 높은 수익화 기회와 체계적인 활동 지원의 필요성으로 MCN기업과 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추세다. 콘텐츠 생산자와 중요한 연결고리를 맺고 있는 MCN기업은 최근 몇 년간 매우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MCN기업들과 다르게 중국에 진입한 MCN기업들은 현지화를 거쳐 2016년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고 주로 광고, 홍보 등으로 수익을 창출했다. 그러다 2017년부터는 온라인 커머스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왕홍들과 온라인 커머스의 결합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커머스 수익 위주 형태의 MCN기업으로 변환을 추구했다. 대형 MCN 기업의 출현으로 신규 MCN 업계 장벽이 생기며 업계 내 승자독식 현상도 더욱 가중되고 있다. 그러나 커머스 수익, 광고 수익, 매니지먼트 수익, 제작 수익 등이 커지고 쇼트 클립 플랫폼의 콘텐츠 생산 요구가 증가하면서 MCN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10) 쇼트 클립 수익 모델 초기 쇼트 클립 플랫폼은 일반 이용자들에게는 단순히 영상 콘텐츠를 즐기는 놀이터였다. 반면 쇼트 클립 플랫폼 사업자들은 이용자를 기반으로 광고를 게재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했다. 그러나 쇼트 클립 사업이 확장되고 경쟁이 활성화되면서 일반 이용자들도 콘텐츠 생산자로 바뀌어 갔는데, 결정적인 이유는 콘텐츠 생산자 또한 돈을 벌 수 있는 생태계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중국 쇼트 클립 콘텐츠 생산자들은 어떻게 수익을 올릴까? 중국의 쇼트 클립 콘텐츠 생산자들의 주요 수익은 클릭 수익, 광고 수익, 제작 수익, 커머스 수익, 매니지먼트 수익 등이 있다.
클릭 수익은 콘텐츠의 노출량에 따라 쇼트 클립 플랫폼 사업자가 콘텐츠 제공자에게 돈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광고수익은 개설된 계정의 팬이나 클릭 수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커머스 수익은 중국 쇼트 클립 플랫폼이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마켓에서 물건을 판매하거나 콘텐츠 생산자가 직접 타오바오나 징동 등 기존 온라인 마켓과 연결하여 물건 판매를 진행함으로써 발생한다. 제작수익은 콘텐츠 생산자가 쇼트 클립을 만들고자 하는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으로 쇼트 클립을 제작함으로써 얻는 수익을 말한다.
현재 중국의 쇼트 클립 콘텐츠 생산자들은 제작사를 만들어 전문 쇼트 클립을 제작하는 제작사로써의 위치를 겸하는 경우가 많다. 매니지먼트 수익은 계정 운영을 통해 확보한 팬들을 활용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활동을 통해 얻는 수익이다. 11) 쇼트 클립 마케팅 쇼트 클립 플랫폼들이 런칭 이후 상업적 탐색 및 시도를 지속한 결과로 쇼트 클립 마케팅 시장규모는 대폭 커졌다. 쇼트 클립 플랫폼이 상업적 플랫폼으로 적극적인 변화를 꾀한 것과 더불어 광고주의 예산 증가, 콘텐츠 제작사, MCN기업, 마케팅 서비스사의 마케팅 능력이 전문화되면서 쇼트 클립 커머스가 가능한 생태계가 구축되었다. 최근 들어 쇼트 클립 플랫폼의 동기대비 성장률의 폭이 점점 완만해지고 있지만 점진적으로 더 많은 광고주가 쇼트 클립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고 플랫폼들도 개인 계정의 사용 가치를 더욱 증진하고 있어 쇼트 클립 마케팅 시장은 향후에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성장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설명: 중국 쇼트 클립 플랫폼에서 물건을 마케팅하고 있는 모습] 사진출처: Baidu 쇼트 클립 마케팅은 형식이 다양하며 주로 직접광고, 간접광고, 왕홍 캠페인, 계정 운영, 플랫폼간 융합 등의 형식으로 진행한다. 중국 대부분의 쇼트 클립에서 이용자가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은 이용자가 상품을 구매하거나 브랜드를 접촉하는 여정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 쇼트 클립은 온라인 커머스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쇼트 클립 이용자들은 상품을 구매하기 전에 쇼트 클립을 통해 새로운 브랜드나 제품을 발견하고 제품 리뷰를 읽으면서 구매를 행동으로 옮기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이 교제하고, 즐기고, 콘텐츠를 탐색하고 브랜드와 상호작용하는 소셜 미디어의 기능이 커진 것도 온라인 커머스 사업 성장에 기여했다. 더우인과 콰이서우 등 중국 쇼트 클립 플랫폼은 현재 자체 플랫폼 내에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그리고 더우인은 2019년 초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타오바오 상품을 자신의 게시물에 연결할 수 있는 온라인 커머스 기능을 출시했다. 콰이서우도 자사 플랫폼 내에서 사용자와 상인들이 알리바바의 타오바오 같은 온라인 커머스 시장에서 나온 상품과 웨이신 상점에서 나온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2) 쇼트 클립 마케팅 사례와 한국기업 시사점 쇼트 클립은 새롭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생동감 있게 정부 업무나 정보를 대중에게 전파할 수 있다. 파급력도 강해 공공기관에서도 홍보나 마케팅 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또한 라이브 방송 및 온라인 커머스 사이트와의 연계를 통해 손쉽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이나 개인사업자도 상품판매 전략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에어비앤비는 더우인을 통해 이용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TVC 영상을 쇼트 클립으로 더우인에 게재했다. 그 결과 쇼트 클립은 66만 개 이상의 ‘좋아요’ 를 받았고, 브랜드 인지도가 200% 상승해 에어비앤비의 성장률도 여행산업의 평균 성장률을 4배 이상을 넘었다. 이처럼 중국 유명 훠궈(火锅) 프랜차이즈인 하이디라오(海底捞)는 더우인을 통해 ‘왕홍처럼 먹기(网红吃法)’, 'DIY 소스(DIY蘸料)', '돈 아끼며 먹기(省钱吃法)', '창의적으로 먹는 방법(吃法解锁)' 등 내용을 담은 쇼트 클립을 대량 노출했고 이를 모방하는 UGC 생산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하이디라오 브랜드 이미지 확산을 유도시켰다. 관련 동영상은 ‘좋아요’ 수가 평균 1만 개 이상이며 ‘#하이디라오’ 해시태그 조회수가 29억 뷰에 달하는 등 효과적인 바이럴 마케팅 성과를 거두었다. 기업뿐만 아니라 2020년 초, 중국에서는 코로나19가 대유행 하여 중국 정부는 국민들의 동요를 잠재우기 위한 방안으로 쇼트 클립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정부와 정부를 지지하는 기관 및 국민들의 쇼트 클립들은 수십만에서 수천만의 클릭 수를 기록하며 코로나19의 국민적 대응에 대한 광범위한 의식 전환을 만들어 냈다. 지난 2022년 중국에 진출한 한국 패션 기업 ㈜하이라이트브랜즈의 스트리트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는 중국 내 패션 성지로 꼽히는 난징, 상하이 등 지역에 매장을 오픈했다. 키르시는 특히 샤오훙수, 웨이보 등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공격적으로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면서 중국 주요 유통채널 바이어들의 러브콜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 소비시장은 차츰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리오프닝으로 경기회복이 기대되는 만큼 2023 년 경제 전망 또한 비교적 밝은 상황이다. 현재 중국 소비시장의 트렌드는 코로나19 로 인해 맞춤형, 개성화 소비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개성화 소비를 선호하는90년대, 00년대생 젊은 세대가 새로운 소비계층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으며, 한국 상품 구매 시 이용하던 타오바오, 징둥, T-mall 플랫폼에서 쇼트 클립 플랫폼과 동영상 SNS 플랫폼을 통한 구매가 느는 추세로 변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의 중국 온라인 채널 다각화와 이를 통한 마케팅이 어느 때보다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위 원고는 현지 외부 전문가가 작성한 원고로, (사)경북PRIDE기업 CEO협회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